프로그램이 실행 될때 메모리라는 것을 사용하게 된다.
2가지 용도로 사용 되게 된다.
1.코드가 올라오는 영역(text영역)
실제로는 바이너리 2진 코드로 작성된다.
메모리에 올라간 프로그램은 프로그램이라고 하지 않고 프로세스 라고 칭한다.
엄밀히 말하면 프로그램은 로드가 되지 않은 상태 -> 죽어 있는 상태이다
2.코드가 실행되는 과정에서 필요한 데이터가 있으면 그 데이터가 보관 되는 영역
함수에 지역변수가 마련되는 공간과 동적으로 생성되는 메모리공간
Main 함수가 가장 먼저 실행되는 데 그전에
필요한 변수들을 미리 생성한다.
그 변수들은 함수가 실행되기 전에 스택 영역에 준비가 된다.
준비가 된 공간은 다른 공간이 할당 할 수 없게 잠기게 된다. 딱 알맞는 크기로써 할당된다.
()를 사용하면 초기화가 발생한다.
출처 : https://www.youtube.com/watch?v=dBRU_-eLvpU&list=PLq8wAnVUcTFWQ4TpRPZRa5nj1VwfyO7st&index=16&t=0s
'Java >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바 객체지향 강의 4강 - 인스턴스(Instance)메소드 구현하기 (0) | 2020.03.16 |
---|---|
자바 객체지향 강의2-3강 - 함수들을 갭슐화하기 (0) | 2020.03.13 |
자바 구조적인 프로그래밍 강의 14강 -함수 오버로딩(overloading) (0) | 2020.03.12 |
자바 구조적인 프로그래밍 강의 12~13강 - 가변길이를 위한 구조체 생성 (0) | 2020.03.12 |
자바 구조적인 프로그래밍 강의10강 - 구조체 배열 이용하기 (0) | 2020.03.11 |